- 퍼블리셔 : 뼈대를 만드는 사람
- 프론트 : 어떤 데이터를 이용해 컨텐츠를 채우느냐?
- 백앤드 : 서버에서 코드가 잘 동작하도록.
→api를 만들게 됨
os 랑 인프라 영역 이해가 필요함
- 데브옵스 : 개발과 운영을 담당 →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짐. 시스템엔지니어도 하지만 개발영역도 함께 다룸
백엔드 개발
==서버 개발자랑 같음
-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개발자
- 시스템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개발자(코드 최적화!)
- 서버 성능 이슈와 맞서는 개발자
- os설정/JVM 레벨의 튜닝도 알아야하는 개발자
- DB/대용량 서비스에 익숙한 개발자
HTTP가 무엇인지?
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?
DNS가 어떻게 동작하는지
도메인의 이름이 무엇인지?
호스팅이 무엇인지?
OS에 대한 전박전인 지식
버전을 어떻게 관리할것인지
깃, svm
ci/cd → 자동배포
백엔드 search engines를 다루는 사람은 많지 않음
spring 보다 node.js?
그렇지 않다. 요즘 node.js 선호도가 많이 높아졌지만 아직은 스프링이 더 크다.
알면 좋을 것 같은 용아
- ERP : 기업내부의 모든 인적,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 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통합정보시스템
- SCM : SCM은 부품 공급 업체와 생산업체 그리고 고객에 이르기까지 거래관계에 있는 기업들간 IT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굥유를 통해 비용을 최소화하고 시장이나 수요자들의 욕에 기민하게 대응토록 하는 솔류션
→ ZARA : 자라의 공급사슬의 경우 다품종 소량 생산의 스피드 있는 실행에 역점
- CRM: 고객을 분석해서 구매와 수익을 극대화하는것에 대한 솔류션
→SKT : 통화 패턴 및 선호도 분석 등 고객정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미래가치가 높다고 판단한 25세 미만 고객층을 타깃층으로 선정해 성과를 올렸다.
- SmartFactory : 제조공정의 전반적인 부분을 4차산업혁명으로 대두되는 방법론으로 정보시스템화
JDK가 1.8이 아닌 1.1로 설치되어있는데..→괜춘